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 최저임금이 2.9% 인상되어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월급 환산과 계산 예시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모의 계산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 2026년 최저임금 확정 – 시급 10,320원

    2025년 7월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2차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서 2026년도 최저임금이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이는 올해(2025년) 최저임금 10,030원보다 290원 인상된 금액이며, 인상률은 2.9%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가 표결 없이 노·사·공익위원 간 합의로 최저임금을 결정한 것은 2008년 이후 17년 만이며, 1988년 최저임금 제도 도입 이후로는 8번째입니다.

     

     

     

     

    🧾 기본 정보 요약

    항목 내용
    적용 기간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시급 10,320원
    인상액 290원 ↑
    인상률 2.9%
    월 환산액 2,156,880원 (209시간 기준)
    결정 방식 표결 없이 합의 결정 (17년 만)

     

     

     

     

     

     

    💵 월급 환산 기준

    월급은 주 40시간 근무 기준(유급 주휴 포함)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모든 업종과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모의 계산 예시

    1️⃣ 아르바이트 A씨 – 주 15시간 근무

    • 근무 시간: 주 15시간
    • 주휴수당 포함 월 총 근무 시간: 약 65.25시간
    • 급여: 10,320원 × 65.25시간 = 673,080원

    2️⃣ 정규직 B씨 – 주 40시간 근무

    • 근무 시간: 주 40시간 (1일 8시간, 주 5일)
    • 월 근무 시간: 209시간 (주휴 포함)
    • 급여: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3️⃣ 주말 근무자 C씨 – 주 8시간 근무

    • 근무 시간: 주 8시간
    • 주휴수당 조건 미충족
    • 월 총 근무 시간: 32시간
    • 급여: 10,320원 × 32시간 = 330,240원

     

     

     

    📌 왜 합의 결정이 중요한가?

    2026년 최저임금은 노사 및 공익위원이 모두 동의한 합의안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표결 없이 합의된 사례는 17년 만
    • 제도 도입(1988년) 이후로는 8번째

    그간 매년 격렬한 표결로 결정되던 구조와는 달리, 이번엔 노사 간 이례적인 협의 성과로 평가됩니다.

     

     

     

     

    🔍 향후 영향과 체크포인트

    • 근로자: 실질임금 상승으로 생활 안정 효과
    • 사업주: 인건비 부담 증가에 따른 대책 필요
    • 정부: 영세사업자 대상 지원 정책 확대 가능성

     

     

     

    📎 2025년 대비 비교

    구분 2025년 2026년
    최저 시급 10,030원 10,320원
    인상액 - +290원
    인상률 - +2.9%
    월 환산액 (209시간 기준) 2,097,270원 2,156,880원
    결정 방식 표결 합의 (17년 만)

     

     

     

     

     

     

    ✅ 마무리

    2026년 최저임금은 노사 합의와 경제상황을 반영한 인상으로 평가됩니다. 근로자와 사업주는 지금부터 근무시간, 임금체계, 운영비 등을 면밀히 점검해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계산 예시처럼 근무시간에 따라 실수령액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 자신의 상황에 맞는 계산도 필수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청년 기본소득 신청방법

     

    2025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지급일정, 소급신청 한눈에 정리

    2025년 3분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기간이라는 소식을 듣고 발 빠르게 정보를 전하고자 이렇게 달려왔습니다.! 신청기간, 대상 조건, 신청방법, 소급신청 요령까지 총정리했습니다. 빠르게

    info.togetherjump.com

     

    2025 문화소득공제 변경사항 한눈에 정리

     

    2025 문화소득공제 변경사항 한눈에 정리

    2025년 7월부터 문화비 소득공제가 달라집니다! 영화 관람료, 체력단련장 이용료까지 포함된 최신 제도 정리, 지금 확인하세요. 2025 문화비 소득공제 보기👆 Ⅰ. 문화비 소득공제제도(도서·공연

    info.togetherjump.com

     

    전기세 할인 / 캐시백 완벽정리

     

    전기세 할인방법, 에너지 캐시백 완벽정리

    2025년 전기세 할인제도와 에너지 캐시백까지 한 번에 정리! 신청방법과 조건, 바로 확인하세요. 빠르게 할인 신청하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전기세 할인 신청하기👆 에너지 캐시백 신

    info.togetherjump.com